안녕하세요.
오랫만에 인사드리는 케록입니다.
파네라이, 오메가 클론 무브먼트로 큰인기를 끌면서 사실상 해당브랜드에 대해 거의 독점공장인 VSF의 휴업이 길어지면서 해당 브랜드의 시계는 거의 초토화된 상태입니다.
대안의 공장들이 여러업체가 있긴하나 이미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질때로 높아진 상태에서 만족감에 불만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네요.
VSF가 3135무브먼트에 획기적인 발전을 보여줬든 로렉스의 섭마 또한 마찬가지로 현재 VSF의 복귀를 기다리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만 아직까지 제대로 된 일정이 보여지지를 않습니다.
언젠가는 복귀를 하겠지만 현재 공장이 어떤상태인지 어떻게 돌아가는지 소문으로만 떠돌뿐 정확한 답은 없죠. 딜러에게 재촉해서 물어봐도 기다려 달라는 말만 할뿐 다른 말을 하지를 않네요. 답답합니다.
그래서 최근 리뷰해드렸든 Clean사의 구형서브마리너에서 개선된 중요한 부분이 있었고, 그에 따른 높아진 경쟁력으로 현재의 틈새를 메꿀수 있는 메리트있는 제품이 되었기에 금일 재리뷰할까 합니다.
제가 이전 ZZ부터 최근 Clean까지 항상 큰불만사항이 케이스측면 크라운가드 부분의 못생긴 라인이었습니다.
그부분이 개선된것으로 정말 큰 변화라 볼수 있겠지만 제조사측에서는 공식버전에 변화는 없네요.
공식버전은 여전히 V4이고 케록 버전 V4.2 정도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
-짧은스펙-
롤렉스 구형 서브마리너 (ROLEX Submariner) 데이트, 논데이트,콤비
레퍼런스: 116610, 114060
제조사 : Clean
버전 : V4, 케록왈 V4.2
904L 스테인레스 스틸의 40mmX12.7mm
2836에타카피 무브먼트(28800bps) or 슈퍼클론VR3135(데이트),VR3130(논데이트) 무브먼트
사파이어크리스탈 글래스
슈퍼루미노바고광도야광
----------------------------------------------------------
케이스 변화는 처음 Clean사의 콤비모델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홍보 자료에서는 분명 이전과 같은 못난이 케이스로 촬영되었으나 실제 샘플에서는 개선된 케이스로 제공되었고,
리뷰당시 제가 이케이스가 곧 일반 스틸버전에도 제공될것 같다고 말한적이 있었죠.
그게 현실화가 된것이죠.
여튼 금일은 제가 항상 칭찬하든 VSF제품과 간단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번 Clean사의 변화된 크라운가드 형태입니다.
기존 ZZ때부터 Clean초기 버전까지 이 크라운가드의 측면형태가 이런 사다리꼴이 아닌 일자형태였었고 그에 대해 제가 항상 이부분이 문제다 라고~꼬집었습니다.
기존 사진 첨부해 드릴테니 비교해 보시죠.
(2021년, 9월기준 현재 다시 초기형태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생산파트때마다 사양이 바뀌는건 레플리카 업계에서는 흔하게 있는일이라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어떠신가요? 느껴지시나요?
못생긴 톱니 모양은 둘째 치더라도 정말 아쉬웠든 점중 하나였는데 이게 개선이 되었으니 앞으로 톱니 모양도 어느정도 개선해주지 않을까 하고 기대해 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VSF 제품과 Clean 제품을 간단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느정도 눈치가 있는분들이라면 전면만 보시고 어느정도 구분을 하셨을것입니다.
왼쪽이 VSF 오른쪽이 Clean이 맞습니다. 잘하셨어요~~ ㅎㅎ
이거는 아래쪽도 전부 같은 조건이니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브레이슬릿이 접힌상태라 둘의 높이가 맞지 않아 초점이 달라져서 한쪽이 좀 희미해 졌지만 잘 구분하셨네요.
둘다 아주 우수한 스틸부의 마감을 보여주고 있고, 유격도 없으며, 정말 비슷한 다이얼 폰트지만 차이점은 인덱스 형태와 야광부의 질감, 날짜폰트등에서 느끼실수 있을것입니다.
블랙하나만 기준으로 한다면 VSF의 베젤 세라믹 인서트는 자체공장에서 제조한 제품으로 Clean의 인서트보다는 살짝 못하다는 느낌이 들긴합니다. 역시 세라믹인서트만큼은 Clean사의 제품이 최고이기는 하나 그걸 인정할 방법은 이렇게 하나하나 비교해 보는수 밖에 없겠죠. VSF제품이라고 해도 그린 즉 헐크는 같은 Clean사 제품의 인서트를 사용합니다. 그린컬러감을 내는것이 쉽지 않은것이죠.
이젠 케이스형태는 비슷해 졌으니 이건 넘어가고~ 베젤부의 톱니형태에서 차이가 느껴지실건데,
VSF쪽이 좀더 매끈하고 이쁜형태로 가공된것을 보실수 있네요.
용두의 왕관형태는 VSF는 과한 폴리싱으로 좀더 많이 눌러진 느낌이고 Clean은 덜된 느낌으로 라인이 명확히 살아 있습니다.
Gen은 이둘의 중간쯤으로 보시면 될듯하니 둘다 나쁜것은 아닙니다.
정말 두제품의 다이얼은 아주비슷합니다. 하지만 그 내부쪽에서 핸즈의 입체감은 Clean이 좋으며, 인덱스모양은 비슷하나 그 내부에 차여진 야광도료는 VSF쪽은 좀 러프하면서 누른감이 있으며, Clean은 너무 하얗고 곱지만 잘 발려져 있습니다. 같은 Clean제조사의 콤비제품에 사용된 도료는 이게 아닌데 이상하게 스틸제품에서는 이 도료를 아직 사용하고 있네요. 이부분에서는 VSF쪽이 좀더 Gen스럽다고 할수가 있겠습니다. 이것도 추후 개선되기를 바랍니다.
리하울트내의 각인은 오른쪽 Clean쪽이 좋아 보입니다.
버클쪽 왕관의 모양은 clean이 좋고, 2중잠금장치의 러그가 끝까지 덮는 느낌은 vsf가 좋아보입니다. 사진이 없지만 브레이슬릿 즉 스트랩쪽도 Clean쪽이 좀더 유연하며 좋다고 느낄수 있었습니다.
VSF쪽에 플라스틱 로렉스씰이 같이 올라간 관계로 중량이 조금 높게 나왔지만 여튼 둘다 Gen이랑 차이가없다고 봐도 되겠네요.
다음은 그린. 즉 헐크입니다.
왼쪽이 vs , 오른쪽이 Clean 입니다.
인덱스의 엣지커빙상태는 Clean이 좀더 이쁘네요.
즉 다이얼과 핸즈만 본다면 Clean쪽이 좀더 장점이 많은건 사실입니다.
clean 서브마리너의 베젤과 케이스의 유격정도가 커서 Clean쪽의 베젤이 좀더 흔들리는 느낌으로 이건 단점으로 볼수가 있겠습니다.
- 총 평 -
금일은 개선된 즉 업그레이드 된 Clean사의 서브마리너를 살펴보았습니다.
기존제품에 비해 케이스의 크라운가드 형태가 개선되었고 그부분을 알려드리기 위한 글이었으나 왠지 좀 심심한것 같아 VSF제품과 비교를 하게 되었습니다.
Clean사 제품의 장점으로는 유연한 브레이슬릿과 버클, 입체감이 있는 핸즈와 깔끔한 인덱스, 좋은 품질의 세라믹인서트가 되겠고
이점이 이제품을 선택하는 주 포인트가 될것입니다.
다만, 인덱스에 발린 야광이 너무 백색을 띈다는것과 감는 느낌은 좋지만 조금 흔들리는 베젤은 단점입니다.
무브먼트문제에서는 확실히 VSF의 3135나 3130이 더 좋다고 판단이 되지만 VSF의 무브먼트 등장 이전까지는 ZZ나 Clean사가 사용하든 VR3135도 나쁘지 않다는 평입니다. 그전까지 비교대상인 AR의 3135보다는 분명히 좋았습니다.
글 초기에도 말씀드렸듯이 케록이 섭마에서 가장 많이 추천드렸듯 VSF가 현재까지 휴업인관계로 구할실수가 없기때문에 대안으로 Clean제품도 나쁘지 않다는걸 알려드리고 싶었고 본글에서 그 해답을 찾으실수가 있을것이라 봅니다.
그럼.
지금까지 케록이었고
본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 꾹~눌러주세요.
문의는
#clean섭마 #clean서브마리너 #clean #섭마 #서브마리너 #케록 #렙렙 #레플리카연구소 #케록연구소 #116610 #로렉스 #로렉스서브마리너 #롤렉스섭마 #vsf #vsf섭마 #vsf서브마리너
'ROL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최고의 헐크인가? 116610LV (0) | 2021.12.25 |
---|---|
(EWF)오이스터퍼페츄얼 31mm 277200 (0) | 2021.12.25 |
(Clean) 서브마리너 콤비 part.2 / 116610 (0) | 2021.12.25 |
(ZRF)최고의 가성비 서브마리너? 116610 (0) | 2021.12.25 |
(ZF)늦은감이 있지만 다시 살펴보는 서브마리너!116610 (0) | 2021.12.25 |